정부는 앞으로 2025년까지 행정·공공기관의 모든 정보시스템 1만여 개를 클라우드로 100%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을 확정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정부혁신 발전계획’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행정안전부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에 맞는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을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공공 클라우드로의 전환
공공 클라우드 전환 계획은 기존의 노후화된 서비스 대신, 안정적인 디지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활용 기반을 마련하려는 계획인데요. 현재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 대부분은 운영 규모가 작아 설비가 미흡하고 전담 인력 부족으로 인해 보안에 취약합니다. 인프라 자원 또한 내용기간을 경과하여 시스템 운영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었죠. 총 8600여억 원을 투입한 계획인 만큼, 본격적으로 디지털 전면 전환을 통해 세계 선도 국가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직접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SaaS는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센터에서 필요한 자원을 빌려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입니다. 이를 통해 공공 업무시스템 전환 비용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공공 서비스로의 신속한 신기술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 또한 높일 수 있습니다.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SaaS) 우선 활용
특히 이번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계획에서는 공공 디지털 서비스 혁신과 클라우드 산업 마중물 역할을 위해,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정책을 제도화하였습니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시 공공 업무시스템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 활용하는 것이죠.
민간 클라우드의 활용은 2021년에 시행되었던 ‘코로나19 예방접종 예약시스템’으로도 볼 수 있는데요. 매년 명절 기간 기차표 예매 사이트에 약 300만 건의 접속이 기록되는 것처럼, 연령대를 나눴음에도 불구하고 예방접종 사전 예약은 일시에 대량의 접속자가 몰리며 접속 지연과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때 사전예약시스템 접속 중 가장 큰 과부하 요소인 본인인증 기능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관하고 간편인증 체계 또한 도입함으로써 원활한 접속이 가능해졌죠. 이처럼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으로 활용해 공공기관의 업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등이 우세한 상황인데요.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에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가 우선시 되는 만큼, 국내 클라우드 시장과 경쟁력을 확보할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공공 클라우드로 납품되기 위해서는 국내 정부의 정보보호 보안인증(CSAP) 자격을 취득해야만 하기 때문에, 국외 클라우드는 불가능한 것이죠.
특히 검증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시, 여러 기관에서 공통 운영되는 업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새롭게 개발·전환할 때 필요한 구축·유지관리비 대신 이용료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산 절감은 물론 서비스 이용도 즉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죠.
.
.
.
이러한 공공 클라우드 전환 정책을 통해 어떻게 정부 시스템이 빠르게 개선될지 기대가 되는데요. 그렇다면 행정·공공기관은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위해서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할까요? 어떠한 클라우드 서비스든 공공 납품이 가능한 걸까요? 공공 클라우드 납품을 위해서는 어떤 자격이 필요한지 살펴보도록 합시다.